주차 없이도 건축 가능? 교통 중심지 개발의 새 전환점 ▶문= 주차가 없어도 건물을 지을 수있다는데 정확한 규정이 궁금합니다. ▶답= “이 부지는 좋긴 한데, 주차장이 안 나와서 개발이 안 돼요.” 많은 소규모 건축주들이 한목소리로 했던 말입니다. 하지만 2023년부터 시행된 AB 2097 법안은 이런 고민에 명확한 해답을 내놓았습니다. 이 법에 따르면, 지하철역이나 주요 버스 정류장에서 반경 0.5마일 이내에 위치한 부지는 더 이상 최소 주차대수 요건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2025/06/27 13:48 편집용 미주기사
빈 오피스 건물 주거 전환 쉬워졌다…내년부터 전면 시행 ▶문= LA에 오피스건물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올해부터 오피스건물을 주거건물로 전환하는게 쉬워졌다고 하는데 규정이 어떻게 바뀌었는지요? ▶답= 팬데믹 이후, LA의 오피스 빌딩과 상업시설은 점점 공실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재택근무와 온라인 소비 확산은 도심의 상업공간 수요를 빠르게 변화시켰고, 한편으로는 극심한 주택 부족 현상이 여전 2025/06/27 13:48 편집용 미주기사
아파트 내 공용공간도 주거 유닛으로 전환 가능…최대 25% 허용 ▶문= 40유닛정도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아파트내에 recreation room이 있는데 이 공간을 아파트 유닛으로 전환할 수있나요? ▶답= 최근 캘리포니아 주정부와 로스앤젤레스 시정부는 주거 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기존 아파트내의 비거주 공간을 ‘Multiple ADU(보조주거유닛)’로 전환하는 것을 허용하고 2025/06/27 13:48 편집용 미주기사
건축사와 엔지니어의 차이점과 역할 ▶문= 건물을 신축하려고 하는데 건축사와 엔지니어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건축주로서 이들 사이의 역할은 어떻게 나뉘는지 궁금합니다. ▶답= 건물을 짓는 데 있어 “설계자”라는 단어는 여러 사람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건축사도 있고, 구조, 전기, 기계, 토목 등의 전문 엔지니어도 있습니다. 건축주로서 이들의 역할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축사는 단지 외관이나 인테리어를 디자인하는 사람이 아닙 2025/04/25 15:38 편집용 미주기사
건축사와 인테리어 디자이너의 차이점과 역할 ▶문= 점포 리모델링하려고 하는데 건축사와 인테리어 디자이너 중 누구와 계약을 해야하나요? ▶답= 많은 분들이 "건축사"와 “인테리어 디자이너”의 역할을 혼동하곤 합니다. 둘 다 ‘공간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접근과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건축주로서 현명한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축사는 건물의 구조, 배치, 인허가, 기술 설비 2025/04/25 15:38 편집용 미주기사
건축사와 시공사의 차이점과 역할 ▶문= 작은 상가를 리모델링하려고 하는데 건축사와 시공사 누구에게 먼저 연락을 하여야 하나요? ▶답= 많은 분들이 "건축사"와 “시공사”의 역할을 혼동하곤 합니다. 모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그 역할과 책임은 명확히 다릅니다. 이들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시작입니다. 건축사는 단순히 도면을 그리는 사람이 아닙니다.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공간의 기능성과 아름다움, 법 2025/04/25 15:33 편집용 미주기사
사무실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 ▶문= 사무실을 이전하면서 인테리어를 새로하려고 합니다. 요즘 사무실 인테리어의 트렌드가 궁금해요. ▶답= COVID-19 팬데믹 이후 사무실 공간에 대한 인식은 근본적으로 변화했습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일정기간 반강제적으로 재택근무를 경험하였고, 그후 많은 사람들이 사무실로 돌아 왔지만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재택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무실 디자인 트렌드 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팬데믹 이후 변화 2025/04/17 14:33 편집용 미주기사
2025년 오렌지카운티 부동산 시장 전망 ▶문= 오렌지카운티의 부동산 시장은 2025년에 어떻게 변화할까요? ▶답= 2025년 현재, 오렌지카운티는 대규모 도시 재개발과 인프라 확장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뿐만 아니라 건축설계와 도시계획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흐름입니다. 특히 투자자와 개발자들에게는 장기적인 자산 가치 상승과 안정적인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얼바인시는 현재 약 58,000세대의 신규 주택 2025/04/17 14:33 편집용 미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