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첨영주권에 관한 국무부의 안내책자 (2009)에 자주묻는 질문 섹션이 있는데, 거기의 1번 질문을 아래에 옮겼습니다.
----------------------------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E-DV REGISTRATION
1. WHAT DO THE TERMS “ELIGIBILITY”, "NATIVE" AND “CHARGEABILITY” MEAN? ARE THERE ANY SITUATIONS IN WHICH PERSONS WHO WERE NOT BORN IN A QUALIFYING COUNTRY MAY APPLY?
Your country of eligibility will normally be the same as your country of birth. Your country of eligibility is not related to where you live. “Native” ordinarily means someone born in a particular country, regardless of the individual's current country of residence or nationality. For immigration purposes “native” can also mean someone who is entitled to be “charged” to a country other than the one in which he/she was born under the provisions of Section 202(b) of the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For example, ...
Finally, if you were born in a country not eligible to participate in this year’s DV program, you can be “charged” to the country of birth of either of your parents as long as neither parent was a resident of the ineligible country at the time of the your birth. In general, people are not considered residents of a country in which they were not born or legally naturalized if they are only visiting the country, studying in the country temporarily, or stationed in the country for business or professional reasons on behalf of a company or government.
If you claim alternate chargeability, you must indicate ...
---------------------------
위에서 강조했다시피 부나 모의 출생국이 북한이면 일단 자격대상이 되는지 검토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오렌지색으로 강조한 부분에서 설명하듯이, 본인이 한국에서 태어났을 때 부모 두 분 중 한분이라도 한국의 resident 이면 본인의 자격이 상실됩니다. 한국의 resident인가 아닌가는 대부분의 경우 한국에 귀화하지 않고 한국을 방문 중이거나, 아니면 한국에서 유학하는 중이거나, 아니면 정부나 회사를 대변해서 사업/직업상의 이유로 한국에 주둔하고 있거나 하는 중이었다면 그 기간 중에 한국에 있었다고 해도 resident 로 간주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한국전쟁 이후 이북출신분들이 남한에서 거주하면서 이북국적을 계속 유지한다는 것은 국가보안법/연좌제가 무고한 사람도 잡아가던 그 시절에 불가능한 일이라고 봅니다. 이북국적 유지한 몇 안되는 장기수들을 들어봤습니다만...
이상의 이유로 대부분의 경우 부모님의 이북출생을 통한 추첨영주권 신청은 자격이 안된다고 봅니다. 도움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