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펀드들 중의 하나인 곡물 펀드에 투자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뮤추얼펀드를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ETFs(Exchange Traded Funds)나 ETNs(Exchanged Traded Notes)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곡물만을 취급하는 뮤추얼펀드에는 Fidelity Select Food & Agriculture(FDFAX)가 있으며, ETFs에는 PowerShares DB Agriculture Fund ETF (DBA), Market Vectors Agribusiness ETF (MOO)등이 있으며, ETNs에는 iPath DJ AIG Agriculture TR Sub-Idx ETN (JJA), iPath DJ AIG Grains TR Sub-Idx ETN (JJG), ELEMENTS Rogers Intl Commodity Agric ETN (RJA)등이 있습니다. 또한 곡물을 포함한 여러가지 상품들에 고루 투자하는 뮤추얼펀드와 ETFs, ETNs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곡물의 비율에 전체 상품중 어느 정도 차지하는가를 비교해 보고, 본인의 투자 목적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뮤추얼펀드 투자는 주식구좌에서 혹은 펀드 회사에 직접 구좌를 오픈하여 투자할 수 있으며, ETFs와 ETNs는 주식구좌에서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
펀드 투자시 세금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뮤추얼 펀드를 이득을 남기고 팔 경우 1년 이상의 자본이득(Capital gains)의 경우 최고 15%의 세율이 적용되고 1년 미만의 자본이득일 경우에는 투자가 본인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또한 펀드 내부에서 발생하는 배당금과 자본이득에 대해서는 매해 1월달 1099-DIV 서류를 투자 회사로 부터 받게 됩니다. 이러한 배당금과 자본이득에 대해서도 세금을 납부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뮤추얼펀드의 경우 펀드매니저는 인덱스를 넘어서는 수익을 올리기위해 Active Management를 하게 되며 잦은 거래로 인해 상대적으로 많은 자본이득이 내부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세제 혜택을 고려하여 투자를 하는 경우라면 뮤추얼펀드보다 Passive Management로 구분되는 ETFs나 ETNs을 이용하여 투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