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Please wait.

loading...
list-ad-1
머니/재테크 보험

Q. 생명 보험 수혜자는 누구를 해야하나요?

지역New York 아이디d**songji**** 공감0
조회5,419 작성일5/3/2010 9:55:35 AM
직장에서 텀 라이프 생명보험을 들어주는데요. 수혜자로 남편과 두 아이를 올리고 싶은데. 남편을 주요 수혜자로 하고 남편 사망시 아이들을 다음 수혜자로 하는 것이 보험금이 나오는데 더 도움이 되는지 잘 몰라서 올립니다. 아니면 남편은 어쩜 다시 재혼을 할수도 있으니까 아이들을 주요 수혜자로 하는 것이 나을까요? 아님 남편과 아이들을 똑같은 퍼세트로 수혜를 받게 하는게 나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저희는 40대 초반이고 아이들은 2살, 7살 입니다.

제 보험의 목적은 아이들을 저없이 키우는데 남편이 힘들지 않는 것인데요. 제가 주요 수입원이고 남편은 아직 학생입니다. 의견 부탁합니다.
list-ad-1
회원 답변하기

0/1000

* 등록된 총 답변수 3개입니다.

전문가 답변글
유충환 님 답변 답변일 5/3/2010 11:17:49 AM
정답은 없습니다. 단지, 남편에 대한 신뢰를 갖고 남편을 First Beneficiary로 하고 아이들을 Secondary Beneficiary로 지정하시는 것이 가장 무난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어짜피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보호자가 권리를 행사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가입해 주는 보험은 금액이 작고 회사에 근무하는 동안에만 보장해 주는 보험이기 때문에 그리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번 기회를 통해 부부간의 신뢰가 더욱 깊이 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banner

AIG Manager

유충환

직업 AIG Manager

이메일 chung.yoo@agla.com

전화 818-590-7910

제영신 님 답변 답변일 5/3/2010 4:11:18 PM
사망보상금 액수 자체는 수혜자를 누구로 하던 관계가 없습니다.

수혜자가 남편인 경우에는 님께서 걱정하시는 부분에 대해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위에서 전문가 분께서 말씀하신대로 남편을 믿을 수도 있고, 그것이 불안하다면 자녀를 수혜자로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상속자산이 많다면 트러스트를 세우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수혜자가 자녀를 한다면, 자녀의 돈이 되니까 순수하게 자녀를 위해서 사용될 것이지만, 이 재산이 자녀의 명의로 있게되면 학자금 융자등에 불리하게 작용할수도 있겠지요.

그룹에서 제공하는 생명보험은 매년 갱신되는 annual term이고, 액수도 월급의 기준에 따라서 제한됩니다. 따라서 주수입원의 사후에 가족을 위한 충분한 보호대책이 될 수 있도록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품에 따라 다르지만, 뉴욕주에 제가 갖고 있는 기간성 상품중에는 사후 사망보상금 이외에도 자녀의 가디언에게도 매월 가디언 비용지급도 하고, 자녀들에게 장학금을 주는 상품이 있습니다.
banner

보험설계사

제영신

직업 보험설계사

이메일 young@wnjinsurance.com

전화 201-647-6198

회원 답변글
답변일 5/6/2010 7:38:07 AM
안녕하세요. 제가 이제서야 글을 확인했습니다. 위에 두 전문가님들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남편을 100% 수혜자로 할려고요. 직장에서 기본적으로 해주는것과 제가 따로 추가로 함께 저렴하게 들수 있는 생명보험으로 제 급여에 3배 정도 되고요. 따로 다른 텀라이프 생명보험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아직 아이들이 2살, 7살이고 저는 40대 초반이라서 30년짜리 50만불 정도의 상품을 찾고 있습니다. 혹시 좋은 상품이나 의견 있으시면 소개해주세요.
daesongjin@gmail.com 입니다. 감사합니다.
list-ad-1

머니/재테크 분야 질문 더보기 +

list-a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