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후까지 내다본 대학 선택, 가성비 판단 기준은? ▶문= 대학의 ‘진짜 가성비’는 어떻게 판단할까? ▶답= 입학 후 1~2년이 지나서야 깨닫게 되는 현실들이 있다. 기대했던 학업 기회가 제공되지 않거나, 졸업 필수과목을 수강할 수 없거나, 2학년부터 재정보조가 급격히 줄어드는 상황 말이다. 이런 예상치 못한 문제들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스트레스를 크게 증가시켜 대학 생활 전반에 부담을 준다. 그렇다면 특정 대학이 과연 '가치 있는 선택'인지 어떻 2025/09/09 13:57 편집용 미주기사
신입생 첫 4주, 대학생활 성패 가른다 ▶문=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신입생이 신경 써야 할 점은 무엇인가? ▶답= 매년 8월이면 전국의 대학 캠퍼스는 새로운 에너지로 가득 찬다. 설렘과 불안이 교차하는 신입생들의 얼굴에서 우리는 무한한 가능성을 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중 상당수는 그 가능성을 제대로 펼쳐 보지 못한 채 캠퍼스를 떠나게 된다. 미국 국가학생정보센터의 냉혹한 통계가 이를 증명한다. 2022년 가을 입학생 중 76.5%만이 이듬해 가 2025/09/03 17:37 편집용 미주기사
입시의 핵심은 기본기, 성실함이 경쟁력이다 ▶문= 학생들이 알아야 할 가장 기본적인 입시 전략은? ▶답= 입시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쌓아온 노력의 결과다. 화려한 스펙이나 특별한 경험도 중요하지만 결국 기본기가 탄탄해야 한다는 뜻이다. 입시는 때론 내가 컨트롤할 수 없는 변수들로 가득해 보인다. 다른 지원자들의 실력, 그해의 경쟁률, 대학의 정책 변화 등 어찌할 수 없는 일들이 많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통제 가능한 요소에 집중하 2025/08/20 17:56 편집용 미주기사
완벽한 AI 에세이보다 ‘서툰 진심’이 더 강하다 ▶문= 대학입시를 준비할 때 챗GPT 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은? ▶답= 챗 GPT가 곳곳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질문에 답하고, 에세이를 쓰고, 맛집을 추천하며, 심지어 AP 시험까지 통과할 수 있는 이 AI 챗봇은 대형 언어모델(LLM)의 놀라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콘텐츠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기술은 이미 많은 학생들의 대학 진학 준비에도 활용되고 있다. 챗GPT는 분명 유용한 2025/08/15 17:38 편집용 미주기사
해외 유학, '정보'가 성공 좌우한다 ▶문= 해외 유학을 꿈꾸는 학생들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 ▶답= 대학에서 성공적인 해외 유학 경험을 원한다면, 학교 선택 단계부터 우수한 ‘스터디 어브로드 (Study Abroad)’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을 찾는 것이 핵심이다. 단순한 교환학생 제도를 넘어 학업·생활·안전까지 전방위적으로 지원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명문대들은 자체 프로그램 운영, 해외 대학과의 협력, 또는 제3자 기관 공 2025/08/06 18:02 편집용 미주기사
기부금 과세는 대학의 심장을 겨눈다 최근 미국 고등교육계를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주도하고 연방 하원이 통과시킨 감세 법안에 따라, 예일대를 포함한 미국의 대표적 사립대학 9곳의 기부금 투자 수익에 최대 21%의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만약 이 법안이 연방 상원을 통과해 현실화된다면, 이는 단지 ‘부자 대학을 상대로 한 공정한 과세’가 아니라 미국 고등교육의 핵심을 구성하는 연구와 교육 생태계 전반을 흔드는 구조적 위협이 될 2025/08/06 11:02 편집용 미주기사
완벽한 대학보다 ‘나에게 맞는 대학’을 찾자 ▶문= 대학 입시를 앞둔 학생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답= 학생들은 유명 대학 랭킹을 보며 목표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이상적인 대학' 기준을 세워야 한다. 단순히 브랜드나 인지도에 의존한 선택은 결국 미스매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등교육 전문가들은 학생들에게 대학 선택 기준을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정리할 것을 권장한다. 첫째는 '반드시 갖춰야 할 조건’(must have), 2025/07/31 13:43 편집용 미주기사
입시 불안을 돈으로 바꾼다? 칼리지보드 상업화 논란 미국 고등교육의 관문 역할을 하는 칼리지보드(College Board)가 최근 몇 년간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SAT와 AP 시험을 주관하는 이 ‘비영리’ 기관이 과연 교육의 공공성을 추구하는 조직인지, 아니면 학생들의 불안감을 이용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는 독점 기업인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칼리지보드의 가장 큰 모순은 비영리 기관이라는 지위와 실제 운영 방식 사이의 괴리다. 2023년 칼리지보드는 약 10억 달러의 매출을 2025/07/22 11:52 편집용 미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