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진학하는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가장 큰 부담은 단연코 교육비에 따른 재정 부담이다. 자녀들의 대입 합격의 기쁨도 채 가시기 전에 접하게 되는 대학의 재정보조 결과는 학부모들마다 반응도 제각각이다. 어떤 학부모들은 이 정도면 어느 정도 우리 가정형편에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이 두 번 쇼크를 겪게 된다.
첫째는 대학에서 얼마나 지원받았고, 얼마를 주머니 돈에서 우선 부담해야 할지 등에 관한 숫자로 충격을 받는다. 둘째는 이를 실제로 부담하기 위해 PLUS 융자나 대학에 자녀의 등록을 위해서 비용을 지불할 때, 지불 액수에서 받는 충격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지난 20년간 지내온 많은 상담들을 통해 대개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이는 재정보조 성공을 위해 사전 준비로 상담을 진행하는 일보다는, 대학에 합격한 후에 재정 문제로 고민하며 상담해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건이 터진 후에 당면한 재정부담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상담이 거의 대부분임을 볼 수 있다.
미국에서 자녀를 교육시키고자 하는 학부모들은 그 우선순위가 당연히 원하는 대학에 합격시키기 위한 대입 준비다. 입학 사정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진행하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다 실질적인 교육을 지속하기 위한 재정 플랜을 통한 방안마련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이를 경시하다 마지막에 가서 후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전에 읽은 책에서 문득 달라이 라마의 명언이 생각난다. 그는 “문제에 해법이 없다면 걱정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해법이 있다면 고민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고 했다. 이는 의미를 다시 의역해 말하자면, 해법이 있다면 바로 실천해 고민을 해결하라는 말과 일치할 것이다.
재정보조에 있어서 해법이 없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단지, 일반적으로 학부모들은 그 길을 쉽게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오히려 해법보다 고정관념에 매달려 있는 경우가 많은데, 고정관념으로 원하는 바를 성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고정관념에 매달려 있다 보면 그것이 옳다는 사실을 증명하려고 스스로 지연시키며, 결과적으로는 재정보조의 큰 불이익을 당하게 된다. 앤드루 카네기도 “성공하는 방법은 성공할 때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듯이, 재정보조의 성공은 무엇보다 그 로드맵인 재정보조 공식을 철저히 분석해 사전설계를 위한 기본사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정의 SAI(Student Aid Index) 금액을 낮추고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절실히 찾아야 한다.
물론, 재정보조를 잘 지원하는 사립대학을 위주로 설계를 마친 후에 실질적인 준비를 해 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연간 총비용이 9만 달러가 들어가는 사립대학에서 거의 6만 달러를 재정 지원받았다면, 대개는 6만 달러나 받았다고 하면서 마치 대단히 잘 지원받은 것으로 만족하며, 스스로 재정보조 신청과 지원을 받아냈다는 자부심에 우쭐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만약, 해당 대학의 재정보조 비율과 가정의 재정보조 설계를 통해서 8만 2천 달러를 지원받을 수 있었는데 6만 달러밖에 지원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나중에 정확히 알게 된다면, 과연 그저 감사가 절로 넘쳐날지는 의문이 든다.
작년부터 재정보조금 계산에서 가장 열쇠가 되는 SAI 금액의 산정에 W-2나 세금보고에 나타나는 개인세금공제를 위한 은퇴플랜에 불입하는 부분을 모두 Untaxed Income으로 연방정부가 간주해, 이 부분을 공제하지 않았을 때 수입으로 받아 세금을 낸 차액, 즉 After-Tax Dollar를 마치 학부모가 전부 우선 학자금으로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한 것을 알기나 할까?
이러한 플랜을 가지고 있는 학부모들에게는 그만큼 SAI 금액을 증가시켜, 증가된 부분만큼 Remaining Need(RN) 금액(즉, 재정보조 대상 금액인 Financial Need 금액)을 줄임으로써 그만큼 재정보조 지원을 줄이는 식으로 계산한다.
쉽게 예를 들면, 5천 달러의 SAI 금액 증가는 재정보조를 RN에 대해 100퍼센트 지원하는 사립대학에서 그만큼 재정보조 금액을 줄여, 실제 재정보조 손실은 SAI 금액 증가의 두 배에 달한다는 사실이다.
문제는 이러한 IRA나 401(k) 등의 플랜에 세금 혜택도 거의 없으면서, 세금 절약 금액의 몇 배에 달하는 총체적인 재정보조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이를 지속하려는 학부모들의 고정관념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진실부터 확인한 후에 다시 한번 고정관념의 불이익을 계산해 보기 바란다.
▶문의: (301)219-3719 / remyung@agminstitute.org